<< L4 스위치 >>
L4 스위치는 OSI 7 Layer 중에서 4 계층 즉, 전송계층에 속한 장비이다.
클라이언트의 접속들을 서버가 과부화 되지 않게 부하가 균등하게 되도록 분산하여 할당하여 로드밸런싱 해준다.
로드밸런싱 방식
1. SLB (Server Load Balancing)
2. FWLB (Firewall Load Balancing)
3. VPNLB (VPN Load Balancing)
4. CSLB (Cache Server Load Balancing)
=> SLB (Server Load Balancing)
SLB는 LB(Load Balancer)와 VIP(Virtual IP)로 구성된다. VIP(Virtual IP)는 Load Balancing의 대상이 되는 여러 Server들을 대표하는 하나의 가상 IP이다.
Client는 각 Server의 IP가 아닌 LB가 갖고 있는 VIP(Virtual IP)를 대상으로 요청한다. 따라서 Client는 여러 Server들의 존재를 알지 못하고 하나의 Server와 통신한다고 생각한다.
LB는 어떻게 Load Balancing을 수행할지 결정해야한다.
(Load Balancing) 기법
Round Robin : Round Robin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Server를 선택한다.
Least Connection : 현재 Connection의 개수가 가장 적은 Server를 선택한다.
RTT : RTT(Round Trip Time)이 가장 작은 Server를 선택한다.
Priority : 우선순위가 우선인 Server를 선택한다.
- L4 스위치에 VIP (Virturl IP)를 세팅
- 클라이언트들은 VIP (Virturl IP)로 접속
- L4 스위치는 서버 각각의 Rip(Real IP)로 로드밸런싱 (분산 부하)
- 클라이언트한테 다시 갈 때는 VIP (Virturl IP)로 표시
- L4 스위치는 연결된 서버들과 Health Check를 통해서 서버상태 체크
(*참고*)
SLB : https://www.slideshare.net/ryuichitakashima3/ss-72343772
SLB : https://vzealand.com/2016/10/04/vcap6-nv-3v0-643-study-guide-part-8/
GSLB : https://www.netmanias.com/ko/post/blog/5620/dns-data-center-gslb-network-protocol/global-server-load-balancing-for-enterprise-part-1-concept-workflow
출처 : https://ja-gamma.tistory.com/entry/L4%EC%8A%A4%EC%9C%84%EC%B9%98%EB%9E%80%EA%B8%B0%EB%8A%A5%EB%A1%9C%EB%93%9C%EB%B0%B8%EB%9F%B0%EC%8B%B1%EC%A2%85%EB%A5%98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NAT 란? (0) | 2022.10.03 |
---|---|
<Network> SMTP 설정에서 SSL과 TLS의 차이 (0) | 2022.09.07 |
리눅스 (CentOS7) 방화벽 설정 및 포트 확인 (0) | 2022.06.22 |